반응형
프로그램을 돌리고 있거나 잠깐 자리를 비우는 경우에는 절전모드가 방해될때가 있습니다.
자동으로 절전모드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두 가지 방법입니다.
1. 윈도우 설정 변경
가장 기본적인 방법인 만큼 모두가 알고있는 방법입니다.
이미 알고 계신 분은 바로 두 번째 방법으로 넘어가세요.
1. [시작]버튼을 누르고 [설정]으로 들어갑니다.

2. [시스템] 으로 들어갑니다.

3. [전원 및 절전] 으로 들어갑니다.

4. [위의 두 가지 설정을 안 함]으로 변경한 후 아래 [추가 전원 설정]으로 들어갑니다.

5. [설정변경]으로 들어갑니다.

6. [해당없음]을 선택하고 [변경 내용 저장]을 선택합니다.

2. vbs 파일 생성
1. 파일을 만들고자 하는 폴더에서 새 텍스트 문서를 만들어줍니다.

2. 아래 내용을 복사합니다.
Set ws = CreateObject("WScript.shell")
Do
Wscript.Sleep 600000
ws.SendKeys "{SCROLLLOCK}{SCROLLLOCK}"
Loop
설명: 600000밀리초(10분)마다 SCROLLLOCK 키를 두번 입력하게 합니다.
SCROLLLOCK키는 눌러도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.
시간은 사용자에 따라 적당히 조절해서 사용하면 됩니다.

3. 저장 후 파일의 이름을 변경합니다. 이때, 확장자를 .vbs로 변경합니다.
저는 DontSleep.vbs로 설정했습니다.
귀찮으신 분들을 위해 파일을 업로드 했지만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걸 추천합니다.
DontSleep.vbs
0.00MB

4. 이 파일을 실행하면 설정한 시간마다 키가 입력되어 절전모드에 들어가지 않습니다.
파일을 종료하려면 Win+R 키 입력 후 실행 창에 taskkill /f /im wscript.exe 를 입력하면 종료할 수 있습니다.
반응형